※ 북촌한옥마을 방문 시 유의사항

최근 북촌을 찾는 방문객이 증가함에 따라 북촌한옥마을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주거환경 침해에 따른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관광지로 개방하고 있는 남산한옥마을이나 민속촌 등과는 달리 북촌한옥마을은 서울의 대표적인 한옥 밀집 주거지역으로 주민들이 실제 거주하고 있는 생활공간입니다.

이 점을 유념하시어 아래 행동을 자제해 주시고, ‘침묵관광’ 을 부탁드립니다.

– 고성과 장난, 촬영 등으로 소음 발생하지 않기 (특히, 가회동 31번지 등 한옥밀집지역)
– 가져온 쓰레기는 가지고 가기
– 단체방문은 10명 내외로 제한하기
– 확성기나 마이크 사용 안하기
– 열려진 집 문 틈새로 촬영하지 않기

북촌 한옥밀집지역(가회동 31번지, 33번지 일대 등)에서는 문화관광해설사의 가이드는 진행되지 않을 예정이오니 도보관광코스 이용 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600년 수도의 스펙트럼 속으로

서울에서 가장 생생하게 살아 숨 쉬는 역사문화의 현장은 단연 북촌한옥마을이다. 600년 수도의 역사를 자랑하듯 전통 한옥들이 즐비한 동네다.

북촌은 조선 시대부터 이어오는 지명이다. 당시 서울의 중심에는 청계천이 흘렀는데 이를 기준으로 북쪽을 북촌이라 했고 남쪽을 남촌이라 했다. 북촌에는 당대의 권세가들이 살았다. 근처의 궁궐을 보면 이해할 수 있듯 왕가를 중심으로 권력의 중심에 있는 사대부들이 살았다. 남촌은 남산 아랫자락에 해당하는 남산한옥마을 주변이었다. 하급 관리나 벼슬을 멀리한 선비들이 많았다. 남주북병(南酒北餠)이라는 말도 있었는데 ‘남촌에는 술이 맛있고 북촌에는 떡이 맛있다’라는 뜻이다. 두 지역의 문화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말이다.

지금 북촌한옥마을은 보통 경복궁에서 창덕궁에 이르는 지역을 가리킨다. 백악산과 응봉산을 연결하는 산줄기의 남쪽 기슭이다. 가회동이나 삼청동 정도가 귀에 익지만 원서동과 계동, 재동, 안국동, 소격동, 사간동, 송현동, 화동 등 그 지명도 낯선 11개의 동이 자리한 마을이 바로 북촌한옥마을이다.

무엇보다 지금도 사람들이 실생활 공간으로 삼고 있는 생활한옥촌이라는 점이 특색이다. 한옥들만을 따로 모아 전시 형태로 꾸며놓은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삶이 영위되고 있는 현장인 것이다. 북촌한옥마을로 인해 서울의 역사가 단절되지 않고 이어져간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우리나라 전체를 통틀어도 생활한옥촌은 전주한옥마을 정도를 제외하면 그 흔적을 찾기가 쉽지 않다. 더구나 자연스레 도심과 어우러진 한옥마을의 풍모는 서울이 좀더 각별하다. 때문에 북촌한옥마을에 깃든 사람들의 생생한 숨결을 찾는 즐거움은 남다르다.

민속촌이 아닌 탓에 막연히 북촌한옥마을을 찾아나섰다가는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어디부터 어디까지라고 정확히 마을의 경계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옥의 군락은 자연스레 이어졌다 자연스레 사라져 도심으로 스며든다.

교통정보
 
주소 서울 종로구 계동 105번지 북촌문화센터 일대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37, 북촌문화센터 일대 (계동)
지하철 3호선 안국역 3번 출구 도보 10분
버스 창덕궁
151, 171, 172, 272, 708, 109, 162, 601 7025

 

<- 이전페이지